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행사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분투기] MBTI ‘J’에게도 쉽지 않았던 현대화 사업 계획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5-04-02 14:47 조회 27회 댓글 0건

본문



 MBTI 'J'에게도 쉽지 않았던 

 현대화 사업 계획하기 

 선진도서관 견학부터 사업계획서 작성까지 



새 학교로 이동한 지 딱 한 달이 되던 4월 1일, 도서관 현대화 사업에 우리 학교가 선정되었다는 공문이 도착했다. 3월 동안 새 도서관의 청사진을 그려 보곤 했지만 막상 선정되고 나니 어떤 모습이 우리 학교도서관에 가장 이상적일지 가늠이 되지 않았다. 게다가 2억에 육박하는 큰 예산을 쓰는 만큼 잘 해내야한다는 부담도 함께 밀려왔다. 교장선생님과 행정실장님께서는 3학년이 졸업 전 새 도서관을 짧게나마 이용하게끔 최소한 2학기 시작 전까진 공사를 마쳐 보자 하셨다.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될 여름방학식까지 남은 기간은 세 달 반 남짓. 그 안에 모든 공사 준비를 마쳐야 했다. 차근차근 하면 된다고 스스로에게 되뇌며 어쩐지 계속 바빠지는 마음을 가라앉히는 일. 그것이 현대화 사업의 시작이었다. 정원진 구미 형곡중 사서교사  




사업계획서 = 추진계획서 + 실행계획서


경북에 위치한 학교도서관의 경우 사업 선정 이후 도교육청으로 현대화 사업 ‘추진계획서’와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추진계획서는 현대화 사업을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것인가를 담아야 하는 계획서로, 정해진 양식이 없어 자율적으로 내용을 구성해 작성해야 한다. 실행계획서는 사업 예산 집행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서로, 서식이 정해져 있다. 예산을 시설비, 비품구입비, 기타로 구분해 하나하나 항목을 정리하여 교부받은 총 예산을 어떻게 쓸 것인지 작성해야 한다.



계획서 쓰기 전, 경력자의 도움을 받자


이렇게 사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다 보면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필자 또한 처음에는 시설비가 무엇이고 기타 예산에는 어떤 항목들이 포함 되는지 전혀 몰랐고 추진계획서는 무엇인지 또 어떻게 써야 하는지 도통 감이 잡히지 않았다. 현대화 사업을 처음 맡았다면, 계획서 작성은 조금 뒤로 미뤄 두고 인근 학교에서 도서관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신 사서선생님들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비대면으로 자료를 전달받고 조언을 구하는 것도 물론 좋지만, 가능하면 사서교사가 현대화 사업을 진행한 학교도서관에 직접 가 보는 것을 권장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처럼 여러 학교도서관에 방문해 도서관 공간이 어떻게 재구조화되었는지 살펴보는 동시에 도서관 공간에 대한 사서선생님들의 박물관 큐레이터 뺨치는 설명과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사업 비하인드 스토리를 함께 듣고 나면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사업이 한결 수월해진다. 이 작업이 바로 ‘학교도서관 현대화 사업 선진학교 견학’이다.




선진도서관 견학하기


도서관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선생님들께 연락을 드려 견학 일정을 조율하고, 사업 선정 바로 다음 날부터 견학을 시작했다. 구미 지역뿐만 아니라 김천, 칠곡, 성주 등 인근 지역의 학교를 포함해 일주일간 총 11곳의 학교도서관을 방문했다. 견학을 할 때는 도서관 사진을 최대한 세세하게 많이 찍어 가는 것이 좋다. 본격적으로 설계 작업에 들어가게 되면 서가 두께와 높이, 가구 테두리 마감 소재 등 세부적인 사항을 정해야 하는데, 내가 견학 갔던 학교에서는 어떻게 했는지 참고하고 싶어질 때가 많기 때문이다. 견학을 두번 갈 수는 없으니 첫 견학 시 도서관을 구석구석 살펴보고 사진과 영상으로 남겨 두기를 추천한다.


견학은 우리 학교와 비슷한 구조의 도서관으로!

대개 견학은 많이 갈수록 좋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우리 학교도서관의 구조와 유사한 학교에 가 보는 것이다. 형곡중 도서

관은 가로로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을 한 2.5칸 크기의 도서관인데, 첫 견학 학교가 우리 도서관과 똑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정중앙에 출입문이 있고, 출입문 기준 왼쪽에는 자료 공간, 중앙에는 대출·반납 공간, 오른쪽에는 수업 및 열람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한적인 도서관 면적을 알차게 활용해 도서관의 역할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한 이상적인 공간 구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1번의 견학을 마치고 난 뒤 설계를 진행할 때에도 우리 학교와 구조가 비슷했던 첫 번째 견학 학교를 가장 많이 참고했고 여러 부분에서 크고 작은 힌트를 얻었다. 다른 견학 학교에서도 많은 사서선생님들께서 사업 절차, 사업 진행 시 유의해야 할 사항, 알아두면 좋을 꿀팁 등을 아낌없이 나눠 주셨다. 선배 선생님들이 계시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사업을 진행했을까 싶다.



TF팀 만들기


도서관 견학 이후에는 먼저 학교도서관 현대화 사업 추친위원회(이하 TF팀)를 결성한다. 현대화 사업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논의 사항이 있을 때 TF팀의 협의를 거쳐 진행해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TF팀은 반드시 필요하다(추진계획서와 실행계획서를 작성하고 교육청으로 제출하기 전에도 먼저 TF팀에서 협의회를 열어 위원분들과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

TF팀은 대체로 교감(위원장), 부서 부장교사(부위원장), 행정실장, 교사위원, 사서교사(사업 담당자)로 구성된다. 교감선생님과 행정실장님은 반드시 TF팀에 포함되어야 하고, 교사 위원의 수는 2∼3명이면 적당하다. 우리 학교에서는 내가 발령받기 전 이 학교에서 도서관 업무를 맡으셨던 교과교사 두 분을 교사위원으로 모셨다. 타 학교의 경우 도서부장을 학생위원으로 두기도 하는데, 학생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의도에는 공감하나 대체로 교사 위원들의 공통된 공강 시간에 TF팀 협의회가 진행되고 7월 공사를 위해서는 빠르게 협의회가 진행될 필요가 있어 우리 학교에서 학생위원은 두지 않았다. TF팀 구성이 완료되면 ‘2025학년도 학교도서관 현대화 사업 추진위원회(TF팀) 구성’이란 제목의 공문을 작성한다. 다음의 이미지처럼 TF팀 명단을 표로 정리해 내부 결재를 받는다.


5418642f311b8ef591e6d4816f1dcde7_1743572345_1526.png
현대화 사업 추진위원회(TF팀) 구성 공문 작성 예시



본격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추진계획서 쓰는 법

이제 드디어 계획서를 작성할 차례다. 사업 진행 계획인 ‘추진계획서’를 먼저 작성해야 예산 집행 계획인 ‘실행계획서’가 작성될 수 있으니 추진계획서부터 작성하는 것이 편하다. 추진계획서는 크게 다음 7가지 카테고리로 내용을 구분할 수 있다(추진계획서 양식은 박진숙 구미 신평중 선생님의 양식을 참고 및 활용했다).


5418642f311b8ef591e6d4816f1dcde7_1743572429_8981.png 


추진 방침에는 사업을 통해 도서관을 어떻게 바꿔 나갈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요약한다. 더불어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선진학교 견학 및 TF팀 결성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다. ④ 학교도서관 현황 분석에는 도서관 위치, 면적, 장서 수, 열람좌석 수, 총 사업 예산 등의 내용을 다루는 ‘학교도서관 기본 현황’과 우리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을 공간 (자료 공간, 교수학습 공간, 관리 공간, 정보검색 공간, 열람 공간 등)별로 점검하고 자료 상태, 기자재, 기타 설비(바닥, 천정, 벽면, 사인물, 복도) 또한 함께 살펴 도서관의 보완점을 분석하는 ‘현재 실태 분석’으로 구성한다. ⑤ 세부 추진 계획에는 학교도서관 현대화 사업 추진 위원회(TF팀) 명단과 사업 추진 일정 등을 작성한다. ⑥ 공간 구성 계획에는 도서관 공간 별로 어떻게 문제점을 해결하고 어떠한 변화를 줄 것인지 정리한다. 추진계획서를 작성할 때는 도서관의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5418642f311b8ef591e6d4816f1dcde7_1743572565_657.png

추진계획서 내‘ ⑤ 세부 추진 계획’에 들어가는 사업 추진 일정안
 


실행계획서 쓰는 법

실행계획서에는 새롭게 탄생할 우리 도서관에 어떤 가구와 물품 등이 필요한지 대략적으로 작성한다. 현대화 사업 예산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5418642f311b8ef591e6d4816f1dcde7_1743572623_342.png 


시설비는 쉽게 말해 공사비를 뜻한다. 도서관 내·외부 인테리어 공사비, 전기(조명) 공사비, 수도 공사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서가 또는 가구를 기성품으로 구입하지 않고 자체 제작하기를 원할 경우, 목수가 직접 가구를 제작하는 비용 또한 시설비에 포함된다. ② 기자재·비품구입비는 도서관 비품 및 물품 구입비를 말한다. 도서관 용품점이나 가구점,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주문해 살 수 있는 서가와 가구, 무인대출반납기, 책상과 의자, PC, 인쇄기, 냉장고, 시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③ 기타에는 다양한 예산 항목이 포함된다. 용역비, 운영비, 업무추진비가 주를 이룬다. 용역비에는 도서 이전비, 가구 철거 및 이동비, 재해예방 기술지도 용역비 등이 포함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건축 설계용역비와 전기 설계 용역비는 시설비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공사 이후 도서관 재개관식 개최 시 기념품, 현수막, 다과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업무추진비’뿐만 아니라 ‘일반수용비’에 해당하는 도서관 사인물 구입비, 간판 제작비 또한 기타 예산으로 분류한다. 참고로 학교마다 예산을 구분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 행정실에 수시로 검토받는 것을 권장한다.

마지막으로, 계획서 작성으로 힘들어하고 계시는 선생님들께 꼭 알려드리고 싶은 한 가지 사실이 있다. 바로 계획은 계획일 뿐이라는 것! 추후 설계사님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견적을 내다 보면 한정된 예산 안에서 여러 차례 타협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 필자 또한 현대화 사업을 하면서 예산 계획을 수십 번도 더 수정했다. 이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더 구체화하면 되니, 지금 작성하는 계획서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기를. 다음 호에서는 도서관 설계 과정에서 우리가 사서교사로서 해야 할 역할과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5418642f311b8ef591e6d4816f1dcde7_1743572823_3324.png
실행계획서(예산계획서) 작성 예시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