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탐방 [웰컴 투 메타버스 라이브러리] 스마트폰으로 접속하는 도서관1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3-04-05 10:21 조회 1,785회 댓글 0건

본문

ae79f2f424d346173bb611aaf724589c_1680656667_9886.jpg 



나의 최근 관심사는 ChatGPT(이하‘챗봇’)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조하는 요즘, 출처 없이 결과물을 제시하는 챗봇에 열광하는 이유는 입력만 하면 어떻게든 결과물을 보여 주는 ‘무한한 발상’ 때문이 아닐까 싶다. 메타버스 도서관도 이와 비슷하다. 선배의 활동 작품, 사서교사와 함께한 리터러시 교육이 반영된 결과물들이 모인 메타버스 도서관은 개성 있는 발상의 근원지가 될 수 있다. 또래들과 자료를 제작할 수 있기에 이곳에 모인 자료들은 이용자에게 더욱 밀접하고 친근한 정보원이 될 것이다. 나아가 더 많은 사서선생님들이 자신이 꾸리는 메타버스 도서관 링크를 공유한다면 물리적인 한계를 넘어 원활한 정보 공유도 가능할 것이다. 김연성 경기 가온고 사서교사  




메타버스 도서관에서 할 수 있는 것들


필자가 메타버스 도서관을 시범 운영한 사례를 소개한다. 모두 완성된 것은 아니며, 개인이 혼자 꾸렸기에 한계를 체감한 바 다음과 같이 활용 방법을 제안하고 함께 활동하실 분을 구한다. 이미 메타버스 공간을 제작해 학생들과 활동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한 마중물 사례로 가볍게 읽어 주시길 당부한다. 필자가 메타버스 도서관을 꾸리기 위해 활용한 앱은 ZEP(https://zep.us/home/landing)이다. 



1. 도서관 이용자 교육

김상균 강원대 교수는 메타버스 주제 강연에서 메타버스 공간은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메타버스는 혼자만의 세상이 아니라, ‘다중 사용자 기반’ 디지털 공간을 일컬으며 새로운 사회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질서와 규칙을 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자극(새로움을 탐닉)’, ‘지배(높은 성취, 효율)’, ‘균형(안전한 도전)’이라고 말한다. 이를 고려하여 필자는 가상 공간에서 처음 보이는 페이지를 도서관으로 설정했다. 도서관의 구조를 간략하게 재현하면서 아바타가 밖으로 나가면 공원 페이지가 나오도록 했다. 또한 도서관 복도를 재현하면서 이용자들이 복도에 걸린 미술작품을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미술작품 정보를 구글 ‘아트앤컬쳐(artsandculture.google.com)’에 연계하여 자유롭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ZEP에 도서관 공간을 구현하면서 서가 배치를 현실의 책 배치와 똑같이 구현할까 생각했지만 김 교수가 말한 메타버스의 의미를 떠올리며 간략하게 제작하기로 했다. 메타버스 도서관은 실제 공간과 다르며, 그간의 경험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도서관 이용자교육을 실시해도 대체로 잘 듣지 않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필요한 순간에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더 잘 기억하곤 했고, 이는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여 이용자교육을 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초·중등에서 철저하게 교육해 주신 선생님들 덕분이다. 이를 바탕 삼아 고등학교에서 이용자교육을 응용해 메타버스 도서관 운영을 확장할 수 있었다. 지면을 통해 기본을 다져 주신 선생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DBpia’를 활용한 논문 검색, 도서관 공간의 학습활동 공간 활용, 서가의 위치를 파악하고 검색으로 찾은 책이 있는 칸에 자신에게 필요한 책을 더 살필 수 있다는 것, 분류에 따라 다른 주제 서가에도 책이 있다는 점 등을 수시로 교육했다. 나아가 메타버스 도서관 참여 독려를 통해 학생들에게 온라인으로도 대략적인 도서관 구조를 알 수 있다는 걸 알렸다. 수업이 끝나기 5분 전에 이 과정들을 지속적으로 알렸다. 현재로서는 학생들이 도서관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도서관 이용 방법을 장기적으로 기억하는 효과를 기대하는 중이다. 메타버스 도서관이 활성화되면 ZEP 접속화면에 팝업창을 뜨게 하여 도서관 행사나 연체도서 반납 독촉 등 게시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SNS 로그인에 익숙하고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다. 폰 화면에서바로 가기 하나만 누르면 모든 정보가 메타버스 도서관 안에 집약적으로 모인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ae79f2f424d346173bb611aaf724589c_1680656971_8836.jpg 

“경기도사이버도서관과 교보문고 전자도서관이 연계돼 있어 

주제도서를 탐독한 뒤에는 관련 주제의 또 다른 전자책을 읽을 수 있다.” 



2. 도서 및 논문 검색

‘간편 로그인’이 낯설어 홈페이지 가입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메타버스 도서관에 우리 학교도서관 검색 링크, DBpia 접속 링크 등을 모아 두면 한 장소에서 편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 과정에서 홈페이지 가입 방법도 다시 배워야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든다. 학생들이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의 모바일 화면과 다른 익숙하지 않은 구조에 ‘강화물(초코바)’이 있어도 가입을 시도하다가 포기하는 경우를 많이 봤기 때문이다.

필자가 구성 중인 메타버스 도서관은 가상 공간에 링크를 시각적으로 모아 둔다. 따라서 메타버스 앱이나 링크만 누르면 도서관 서비스를 모두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더 시도하고 싶은 것은 와이파이를 통해 독서교육 주제의 출력물이 필요할 때마다 유연하게 출력하는 것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린터가 있으면 노트북이나 태블릿에서 다운로드한 메타버스 도서관 내 PDF나 캡처 파일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교내 프린터 수의 제한과 같은 행정적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필요한 요소들을 모아 두면 학교도서관 자료를 유용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경기도사이버도서관에서 전자책 DBpia 논문을 검색해서 필요한 자료를 앉은 자리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변화를 꾀하면 도서관 이용자교육에도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기존의 교육이 실물 자료 대상이었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키워드 설정과 출처 공신력 등을 주요하게 탐색하는 전자 자료로 확장할 수 있을 듯하다. 여전히 자료를 탐색할 때 전통적으로 강조하는 목차, 저자, 출판일 확인과 같은 기초교육도 함께 병행해야 할 것이다.



3-1. 도서 소개 및 원문 읽기

카드 뉴스, 유튜브 영상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도서를 소개할 수 있다. 도서관 내 물리적 전시공간이 부족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이젤에 폼보드를 활용하거나 포스터를 제작해서 전시하면 글씨가 작아서 읽기가 불편하다. 또한 제작한 파일을 출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하지만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출력 이전 단계의 활동물을 모아 둘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작성한 것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링크만 변경하면 내용을 바꿀 수 있으며 재료비가 들지 않아서 경제적이다. ZEP에서 지원하지 않는 파일 형식의 경우 구글 웹드라이브 링크를 연결해서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다. 

필자의 경우는 ZEP에서 도서 소개 코너를 꾸릴 때 책표지 > 유튜브 영상 > 간략한 소개 > 요약문 제공 페이지 등을 실험적으로 구성했다. 선택적으로 책을 읽지 못하는 학생(자기 선택적 독서)의 경우는 독서 경험이 적어서 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곤 한다. 문자를 매개로 하는 방식은 의미에 대한 연상과 사고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학생들의 경우는 ‘책 읽어 주는 ○○’와 같은 영상을 활용하되, 필요한 부분만 책에서 발췌하여 읽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아예 문자를 읽지 않으면 학생들은 문자에 대한 친숙도가 떨어지고 이해력과 연상 능력을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과정에서 독서 경험이 적은 학생들의 경우 한 페이지 내외의 글을 읽고 그치는 모습을 종종 목격한다. 이 학생들은 독서 경험이 적어 배경지식이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영상 시청 과정에서 사진 자료, 발표자의 설명 등을 배경지식으로 받아들이고 단순히 책만 읽는 것보다 좀더 구체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메타버스 도서관을 운영하며 이런 사례들을 축적하여 나눈다면 시대에 발맞춰 변화하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서 ‘요약문’을 제공할 때 가령 900쪽가량의 책을 90쪽 정도로 줄인다면(『트렌드 코리아 2023』, 전자책 기준) 학생들이 특정 주제를 통합해 탐색하는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저작권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활용 방식에 따라 저작권위원회와 상담하는 것을 권한다. 동화책을 활용한 수업을 할 때 저작권 문제로 책의 50퍼센트만 보여 주었고, 책을 스캔하면 수업 후 삭제를 당부받기도 했다. 마치 수능 이후 영화를 틀어 주는 것이 저작권 위반이지만 포용하고 넘어가는 것처럼 암묵적으로 저작권 위반을 용인해 온 듯하다. 저작권을 지키는 것이 마땅하므로 적용 방법을 주의해서 강구해야 할 것이다. 

2022년, 도서 요약본과 관련하여 한국저작위원회에 상담을 받을 당시 교육 목적으로 폐쇄적(편집 불가, 단순 보기, 교육 활동 목적)으로 이용할 경우 문제의 소지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들은 바 있다. 그래서 필자는 구글 문서로 요약본을 제작한 후 학생들이 복사를 할 수 없도록 제한했다. 저작권 조항은 시간과 해석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운영하는 각 학교도서관 상황에 맞게 조항을 확인하고 요약문을 제작해야 할 것이다.


3-2. 도서 요약문을 통한 다른 책의 정보 탐색

메타버스 도서관에서의 도서 소개를 통해 특히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빠른 정보 확장이다. 필자의 사례를 예로 들자면, 『트렌드 코리아 2023』을 가상 공간에서 요약문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된 다른 책의 정보를 바로 탐색할 수 있게 했다. 학생들이 스마트폰으로 이 모든 것을 한번에 할 수 있기에 도서관에 오기 귀찮아하는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정보 확장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고교 학점제가 시행되면서 필자처럼 평가가 없는 교과 수업을 하거나 중간·기말 평가까지 해야 하는 매체 과목 수업을 하는 경우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사서교사의 수업이 확대되면 수업을 위해 자리를 비워야 하기에 도서관을 닫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 도서관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이 도서관에 오지 않고도 양질의 정보를 활용하고 제공받을 필요와 활용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메타버스 도서관을 운영할 때 별도의 준비 없이 바로 활용 가능한 것은 도서관 내 소장하는 한국 단편 문학 목록과 전자도서로 구비된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행평가 기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인문계고의 경우, 수행평가 시기에 시집과 소설책을 빌리는 빈도가 늘어난다. 이에 대한 해결이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하는 것인데, 전자책 읽기를 통해 수행평가용 도서를 한 학년(가온고 2학년 기준 210명)이 동시에 읽을 수 있다. 이는 독서 수업에도 변화를 줄 것이다. 이전에는 학생별로 다른 책을 빌려야 했다면, 이제 독서 전략을 지도할 때 모두 같은 책을 읽으면서 사고 구술을 시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업 시 복본을 다수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간다면 학생의 수행평가 결과물 중 우수 작품을 전시하고, 과제를 작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정보원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때때로 고3 학생이 과거 활동했던 출판물을 찾으러 도서관에 오거나 교과와 연계하여 축제 준비를 할 때 이전 선배의 작업물을 보고 싶다는 학생들이 생기곤 한다. 학생 출판물 또한 도서관에서 관리해야 할 정보원이다. 학생의 출판물을 오프라인 서가에도 둘 수 있지만 출판 전 원본 파일을 받아 웹드라이브에 저장하면 어떨까. 링크를 제공하고 일부 자료를 캡처하여 ZEP에 전시하면 공간을 창출할 수 있고, 학생 이용자들은 유연하게 검색할 수 있다.


ae79f2f424d346173bb611aaf724589c_1680657518_4252.jpg
"노션(Notion)을 활용해 책과 유튜브 채널 등을 모아 정보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4. 웹 정보(유용한 사이트) 공유

최근 희귀 생물을 키우는 유튜버나 전자 기기를 분해해서 보여 주는 유튜버가 늘고 있다. 교과 학습을 풍부하게 해 주는 영상은 넘쳐나지만 이 모든 것을 교사가 혼자 수집하기는 어렵다. 정보 수집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주어지는 정보만 익히고 한정적으로 사고할 여지가 있다. 교사는 양질의 다양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때 예술작품과 관련해 ‘구글 아트앤컬쳐’ 같은 사이트를 활용해 작품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책으로 정보 습득을 보완하는 방법을 활용해 볼 수 있다. 

가온고에는 미술 중점 학생들(편집자 주: 미술 교과에 소질과 적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미술중점반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진로에 적합한 학교 단위의 자율적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맞춤형 진로 집중 과정)이 있다. 이 학생들은 미술 관련 프로젝트를 통해 명화 복제품 액자를 교내에 전시한다. 이 작품들에 작가와 제목 정보를 표기해서 가상 공간에 전시해 두면 효과적이다. 나아가 구글 아트앤컬쳐 정보를 제공하면 실제 공간과 연계되기에 예술과의 자연스러운 만남과 공부를 주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정보원들은 ‘노션(Notion, www.notion.so/ko-kr)’ 플랫폼을 활용해서 함께 관리하고 활용할 수도 있다. 기회가 된다면 노션에 관한 이야기는 차후 풀도록 하겠다. 

사람들이 챗봇에 열광하는 이유는 물음에 반드시 답을 주는 발상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필자가 제안하는 이 방법들은 챗봇과 다르게 출처가 분명한 정보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을 도울 수 있다. 부족함을 알고 있음에도 현장에서 보고 듣고 생각한 것을 지면을 빌려 말하는 이유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과 그에 맞는 대안을 적극 모색함으로써 더 많은 사서선생님들이 아이디어와 좋은 방향을 제안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함께하실 분은 지난 3월호에 언급한 모집글(김연성/ qays1231@gaon.hs.kr)을 살피시고 연락을 주시길 기대한다. 메타버스 도서관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다음 호에 이어서 이야기를 풀도록 하겠다.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