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북뮤지션, 소설을 노래하는 한 남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5-12-02 14:14 조회 39,023회 댓글 1건

본문

문학노래.jpg
 
 
문학은 노래다 북뮤지션 제갈인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제갈인철 지음|북바이북 펴냄|14,000원
 
 
장석주 시인, 권지예, 정한아, 박상률 소설가가 추천하는 책!
소설을 노래하는 한 남자의 뜨거운 고백이 시작된다
 
이상한 가수가 있다. 장정일 성대모사를 하고, 조경란 팬클럽 회장을 자처하는 ‘소설 덕후’. 낮에는 평범한 회사원, 밤에는 문학 노래 작곡에 골몰하는 이중생활의 사나이. 회사에서는 아무도 그의 정체를 눈치 채지 못했다. 마치 슈퍼맨처럼. 바로 북뮤지션 제갈인철의 이야기다. 남의 이야기, 남의 작품의 노래만을 만들어온 그가 이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문학은 노래다』는 문학이 인생을 구원한다고 믿는 한 남자의 진솔한 인생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문학이 외면 받는 시대, 여전히 문학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고백하는 문학 예찬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저자가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에서 창작가로 거듭나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스무 살에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을 읽고 마법처럼 문학에 빠져든 이야기부터 사업 실패로 절망에 빠진 그에게 손을 내밀어준 문학 이야기, 2007년 정한아의 『달의 바다』를 읽고 만든 노래를 계기로 시작된 북뮤지션 생활,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준 소설들, 북콘서트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의 사연까지 저자의 삶에 원동력이 되어준 문학, 사람, 노래 이야기가 펼쳐진다.
다채로운 인생 이야기만큼이나 저자가 소개하는 문학작품의 스펙트럼은 무척 넓다. 박경리, 이청준, 박완서 등의 원로작가에서부터 김영하, 천명관, 박민규, 한강, 정한아 등의 젊은 작가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이 지나온 길을 더듬는가 하면, 성인소설부터 청소년소설, 동화, 시, 에세이에 이르는 다양한 장르의 문학을 다루고 있다. 저자가 더듬은 문학작품의 경로를 따라가다 보면 미처 몰랐던 한국문학의 다채로운 매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 북콘서트 현장이나 회사 출장 길 위에서 시간을 보냈던 저자는 지방의 숙소 이곳저곳에서 틈틈이 글을 써냈다. 그렇게 이동한 거리가 지구 두 바퀴에 이른다. 힘겹게 써낸 글을 통해 저자는 좀 더 많은 사람에게 문학의 힘을 전하고 싶다고 말한다.
 
“문학, 생이 주는 모욕에 대한 거룩한 답변”
당신도 문학에서 위로받을 수 있기를…
 
저자는 문학에서 인생을 본다. 소설이나 영화 못지않은 극적인 인생을 살아온 그다. 그는 10여 년 전 총성이 오가는 멕시코 한복판에 떨어졌던 아찔한 기억을 김영하의 『검은 꽃』을 보면서 다시 떠올리기도 하고, 간절하게 원하던 아기가 좀처럼 찾아오지 않던 시절의 불행했던 마음을 오정희의 『돼지꿈』을 매개로 토로하기도 한다. 이청준의 『눈길』에서는 어린 시절을 보냈던 시골 풍경의 고향을 발견하고, 도시화와 재개발로 와해된 공동체의 흔적을 찾는다. 존경받던 사업가에서 공장의 화재와 어음부도로 인해 몰락해버린 저자의 아버지가 막걸리 배달을 하며 다시 삶을 재건하는 과정은 그 어떤 소설보다 깊은 여운과 감동을 남긴다.
저자에게 문학은 “생이 주는 모욕에 대한 거룩한 답변”이자 “인생을 담는 거울”이었다. 그가 읽은 문학에는 가족, 사랑, 연애, 우정, 청춘, 늙음, 상실, 꿈과 현실 등 인생의 모든 문제가 담겨 있었다. 그리고 문학을 읽어갈수록 하나의 주제로 귀결됨을 깨닫는다. 바로 ‘사람’이다.
“문학을 읽어갈수록 거기서 나오는 모든 화살들이 하나의 과녁에 꽂히는 것을 느꼈다. 그 과녁의 이름은 ‘사람’이었다. 사회는 사람과 사람이 만난 곳이고, 역사는 사람과 시간이 만난 것이다. 따지고 보니 이 세상 모든 이치, 모든 존재는 사람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었다.”
사람을 닮은 문학과 문학을 닮은 사람의 만남을 위해 그는 수많은 노래를 만들고, 공연을 해왔다. 그가 부른 노래는 깊은 상실을 겪은 사람, 방황하는 청춘, 가혹한 교육현실에 치이는 청소년, 부모의 꿈을 강요받는 어린이들에게 위로의 순간을 선사했다. “혼자 슬퍼하면 상실이고 함께 슬퍼하면 위안이다”라고 말하며 저자는 오늘도 상처받은 영혼을 위로할 노래를 만들고 부른다. 책 말미에 수록한 ‘부록―함께 부른 노래들’에는 본문에 나온 노래들의 기타 악보가 실려 있다. 음표를 따라 노래를 흥얼거리다 보면 현장의 분위기를 한결 가깝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국문학에 위기가 찾아왔다고 한다. “요즘 독자들은 한국 소설을 읽지 않는다”라는 말이 빈번하게 들려오는 시기에, 저자는 여전히 한국문학에 대한 절절한 사랑을 노래한다. 당연하다. 삶의 절벽에서 그를 구원해준 것도 한국문학이었고, 그토록 원하는 예술과 생활의 공존을 가능케 한 것도 한국문학이었다. 자신의 삶을 일으켜 세운 문학의 힘을 보다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다는 한 남자의 진정성 있는 목소리에 공감한다면, 우리네 삶을 닮은 한국문학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지은이 제갈인철
문학이 인생을 구원한다고 믿는 문학 신봉자다. 2007년부터 소설을 노래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여 지금까지 150여 곡을 창작했고, 500회 이상의 현장 공연을 통해 사람과 문학의 만남을 주선하고 있다. 직장생활과 공연활동을 함께 하기에 스스로를 개짱이(개미+배짱이)라 부르며, 노동과 예술이 공존하는 인생을 실천하는 중이다.
 
추천글
 
박상률 (시인, 청소년문학가) 
제갈인철은 문학주의자, 음악주의자, 생활주의자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예술과 생활이 공존하는 인생이다. 그는 시와 소설과 동화에서 음악을 찾아낸다. 그가 음악에만 치우쳤다면 음악주의자로 그치고 말았을 것이다. 그가 문학에서 찾아낸 음악은 뜻과 소리가 잘 어우러져 있다. 그러기에 문학주의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학에만 함몰되었다면 그의 음악이 공허했으리라. 그의 음악이 공허하지 않은 건 그가 생활주의자이기 때문이다.
 
장석주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한국문학이 이토록 곤궁한 처지에 빠진 적은 없었다. 한데 아직도 한국문학을 향한 사랑을 만천하에 고백하는 책이 있다. 북뮤지션 제갈인철의 전언에 따르면, 문학은 여전히 힘이 세다. 문학은 길을 잃은 사람의 나침반이요, 어둠 속을 헤매는 이의 등불이다. 범박하게 말하자면, 문학은 트라우마・비극・슬픔의 악장들로 이루어진 레퀴엠이다. 모든 문학에 ‘침묵의 음악’이나 ‘노래’가 있다고 믿는 이 의인으로 말미암아 빈사 상태의 한국문학이 조금이나마 위로를 받을 수 있겠다.
 
권지예 (소설가)  
신도 문학도 죽었다는 풍문이 들리는 이 시대에, 그에게 문학은 인생을 구원하고 위로하는 종교다. 책은 곧 경전이며, 영혼이 감응하면 그는 곡을 짓고 책을 노래한다. 이번엔 그가 신앙고백서(?)를 펴냈다. 작가들도 울고 갈 문학과 인생에 대한 깊은 통찰과 따뜻한 해석에 나도 모르게 감사의 기도를 올리게 된다. 아직도 우리 가슴에 살아 있는 문학에게 그리고 삶에게. 그리하여 누군가 “그의 글은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책속의 시인처럼 대답하겠다. “묻지 마세요. 목이 멥니다…….”
 
정한아 (소설가)  
어느 때 어떤 자리였는지는 잊어버렸지만 제갈인철 씨의 노래를 처음 들었던 때의 떨림은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나는 첫 책을 낸 신인작가였고, 그는 내 책을 읽고 만든 노래를 들려주었다. 그 순간,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까지도 그의 노래에 빠져들었다. 음악이란 얼마나 멋진 것인지, 더 이상 아무런 설명도 필요하지 않았다. 이 책은 ‘북뮤지션’이라는 다소 특이한 이력을 가진 작가가 문학 애호가에서 창작가로 진화해가는 이야기이다. 그의 노래가 특별한 것은 그가 한 작품에 완전히 빠져들어 그 언어를 자신의 것으로 변화시킨다는 데 있다. 아픈 삶의 편린들이 그 안에서 아름다운 노래로 재탄생한다.
 
서문
프롤로그 솜사탕을 먹는 밤
 
1장 내 인생은 문학이었다
운명의 회오리 _김영하, 『검은 꽃』
고향의 복원 _김주영, 『거울 속 여행』
어린 생명 _오정희, 『돼지꿈』
용서
트라우마 _김인숙, 『모든 빛깔들의 밤』
극장에서 만났던 나의 화양연화(1) _김사인, 「화양연화」
 
2장 누구에게나 삶은 소설이고 영화다
연애를 권함 _윤영수, 『내 여자 친구의 귀여운 연애』
그 섬에 가고 싶지 않다 _한강, 『채식주의자』
늚음에 대하여 _정지아, 『봄빛』
극장에서 만났던 나의 화양연화(2) _이청준, 『벌레 이야기』
깊고 멀리 흐르는 인생을 위해 _황석영, 『장길산』
                                            _조정래, 『태백산맥』
                                            _박경리, 『토지』
 
3장 내 노래가 위로가 될 수 있다면
예술과 인생 _권지예, 『붉은 비단보』
상실에 대하여 _신달자, 『나는 마흔에 생의 걸음마를 배웠다』
문학이 청춘에게 _장정일, 『구월의 이틀』
가족, 굴레이자 자유 _조경란, 「나는 봉천동에 산다」
                              _성석제, 『투명인간』
명봉역에서 만난 아버지 _문정희, 「명봉역」
문학의 다른 이름은 어머니 _공선옥, 『자운영 꽃밭에서 나는 울었네』
 
4장 북콘서트에서 만난 인생들
유쾌한 문학 _천명관, 『고령화 가족』 
                  _박민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소년은 읽지 않는다 _박상률, 『봄바람』
아이의 행복을 지켜주는 동화 _고정욱, 『엄마의 등 학교』
내가 사랑하는 시 _정호승, 『서울의 예수』
열정의 생 _박범신, 『고산자』
꿈이 현실을 만날 때 _정한아, 『달의 바다』
 
부록 함께 부른 노래들
함께 읽은 책들
목록

댓글목록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