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공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공통점과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5-05-10 22:11 조회 10,470회 댓글 0건

본문

 
송기호 공주대 문헌정보교육과 부교수
 
도서관과 사서의 본질적 역할
도서관은 개인의 사회화를 주도하는 교육기관이다. 도서관은 문화유산으로서의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할 뿐만 아니라, 이를 분석하여 필요로 하는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사회화와 공동체의 유지 발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교육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은 정보, 문화, 독서, (평생)교육과 같은 핵심 가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질적인 역할은 도서관이 자원과 개인 그리고 자원과 공동체를 연계하는 중재자라는 것에서 비롯된다.
교육기관인 도서관을 경영하는 사서 역시 중재자이다. 중재자로서 사서는 자료는 물론 자료에 담긴 정보와 지식에 정통해야 하고, 그 자료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 대한 이해를 갖추어야 한다. 이것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비롯한 도서관의 분화와 사서교사와 주제전문 사서등과 같은 사서직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다. 평생학습 사회에서 중재자로서 사서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도서관을 도서관이 속한 공동체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이다. 그리고 사서 개인의 건전한 가치관과 사회성은 물론 비전을 개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역량과 학습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서의 자질이야말로 공동체 내에서 도서관이 갖는 사회적 위상과 이미지 그리고 발전 가능성을 짐작하게 해 주는 중요한 척도이다.
중재자인 도서관의 본질적 역할에 비추어 볼 때 관종의 특징은 자연스럽게 설립 주체와 이용자의 범위 그리고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과 같은 현상적 요소의 차이로 모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비영리기관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에 대한 논의의 테두리는 도서관의 본질적인 정의를 대중화함으로써 도서관을 좋은 곳 이상의 필수기관으로 부각하는 데 그쳐야 한다. 또한 도서관을 통해서 공동체 발전에 기여해야 하는 사서직의 자긍심과 전문성을 향상하는 것이어야 한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공통점
우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공통성을 논할 때 가장 주목할 것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도서관은 자료와 개인, 개인과 개인, 나아가서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공동체를 매개하며, 이러한 소통체로서의 기능을 통해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중재자인 사서들은 공동체 구성원이 원하거나 가치를 두고 있는 요구를 가려내고 이를 정보 이용과 문화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안함으로써 도서관의 다양한 새 공동체 형성을 주도한다. 구성주의적 학습 생태계에서 차별 없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평가한다는 것은 공동체 내에서 도서관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공동체 형성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의 경우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부모와 자녀의 공동 참여나 교차 참여도 가능하다. 공동체 내에 새롭게 형성되는 이러한 새 공동체는 긴장과 갈등을 해소하고 관계를 증진하여 연대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도서관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공동체 형성 능력의 완성은 이용자가 도서관을 자랑스럽게 여기거나 도서관이 공동체의 상징물로 자리 잡는 것이다. 또한 경제적 상황이 어려운 경우에도 예산이나 인력 등 도서관의 본질적 역할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또 다른 공통점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서비스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교육기관인 도서관의 본질적인 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현상적 공통점이다. 왜냐하면 어린이와 청소년이 부모와 같은 성인 도서관 이용자와 연계되어 있어서 결국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 지역사회 교육 공동체 내에서 관련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범위와 삶의 연속성에서 나타나는 도서관이용의 순환 구조 측면에서 보면 학교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부분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다. 취학 전 어린이는 부모와 함께 공공도서관을 통해서 정보, 문화,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취학 후 청소년기까지는 학교도서관의 도움을 받는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하거나 퇴직 후에는 다시 공공도서관을 이용한다. 그러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별개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식과 사회의 분화에 따른 사서의 중개자로서의 역할 다변화이다. 따라서 지역 교육 공동체 측면에서 보면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은 부분과 전체 또는 경쟁의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공공도서관 이용이 학교도서관 발전을 촉진하고, 학부모나 지역주민의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대한 인식이 공공도서관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중재자로서 각기 다른 강점과 약점을 인정하고 협력할 때 가능한 일이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차이점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료와 사회의 다변화에 따른 사서의 중재자로서의 역할 수행 방법에서 나타난다. 특히 독서나 교육과 관련된 활동의 경우 학교도서관에서는 형식적이고 구조화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 시・도교육청 수준 그리고 학교나 교사 수준에서 결정된다. 반면에 공공도서관의 경우에는 주로 비형식적이고 비구조화된 방법을 통해서 독서와 교육 활동을 진행한다.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경우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체계적이고 철저한 정보활용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도서관과 사서직의 사회적 역할과 책무에 대한 반복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은 도서관과 사서직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학생 상호간에 정보탐색 전략을 공유시킴으로써 협동학습을 전개하기가 유리하다. 또한 학교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지역 공동체의 교육 목표에 적합한 장서를 개발하고 교육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공공도서관은 개방시간 및 개방일의 확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은 물론 학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하다. 그리고 직원 수가 많고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개별적인 정보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봉사도 가능하다. 특히 다양한 학습 자료와 풍부한 인력자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 도서관 이용능력과 정보활용능력 신장에 유리하다.
 
본질적 역할 수행을 위한 현상적 차이점의 연계
이러한 차이점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안고 있는 단점이 아니라 지역 교육공동체 내에서 소통하고 연계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각기 다른 강점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새 공동체 형성의 중심에서 교육이라는 본질적 역할 수행에 서로 필요한 현상적인 차이점을 연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오늘날의 교육환경은 지식생태학과 구성주의 학습이론 등의 영향으로 상호 존중과 협동, 융합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학교 교육은 창의・체험활동 활성화나 자유학기제와 같이 학교 밖에 존재하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필요로 하는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교육 환경에서는 개인의 생애 과정에 맞추어 도서관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평가할 수 있는 사서직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형식적인 교육기관이자 중재자인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역할을 인정하고 바로 세워야 한다.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