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도서관 활용수업 [IB교육을 시작합니다] 대학도서관과 연결한 학술정보 활용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5-11-05 16:58 조회 20회 댓글 0건

본문

대학도서관과 연결한

학술정보 활용교육


IB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지식의 보고이자 실제 배움이 이루어지는 교육의 장이다. 여러 교과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IB DP 교육 과정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런 역할은 학교도서관 본연의 기능과도 일치한다. 특히,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배움뿐 아니라 독서와 도서관 활용의 기회를 넓혀 준다. IB 학교도서관 역시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폭넓은 학습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그렇다면, IB 학교도서관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까? 앞으로 두 차례에 걸쳐 IB DP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그 첫 번째로 지역도서관, 대학도서관과 연계하여 운영한 학술 정보 활용 프로그램 사례를 나눈다.

박혜림 대구국제고 사서교사



학교도서관, 탐구를 위한 지식의 중심

IB교육은 학생들의 주체적인 탐구와 성찰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탐구하고 깊이 있는 사고를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도서관은 바로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에서 도서관의 종이책과 자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자원을 연결하는 ‘허브’로서 학생들에게 적합한 정보원을 안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전자기기와 온라인 자료 활용이 보편화된 환경에서 온라인 참고정보원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중요한 자원이다. 본교에서는 여러 주제의 학술지 원문을 제공하는 종합 전자저널 서비스 ‘DBpia’를 연간 구독하여 교사와 학생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논문과 연구 자료를 검색하고, 필요하다면 원문 자료를 내려받거나 출력해 활용할 수 있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전자저널 서비스 활용을 독려하기 위해 이용 안내문과 매뉴얼을 각 학급과 도서관에 비치하고, 온라인 클래스룸을 통해서도 안내한다. 또, 신입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교육에 학술정보 활용법을 포함하여 간단한 교육과 실습을 실시한다. 최근에는 IB 교육뿐 아니라 일반 교육과정에서도 학생들의 주체적인 탐구와 이를 기반으로 한 과제와 평가가 확대되고 있다. 온라인 참고정보원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뒷받침하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

888c0714a317decc5161c6dcdd04024d_1762329115_4478.png

하지만 상용 온라인 참고정보원은 대부분 유료 서비스이고 비용이 높은 경우도 있어, 일선 학교에서 쉽게 활용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그렇다고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국가기관에서 운영하는 학술 정보원은 양질의 자료를 갖추고 있으면서 비용도 발생하지 않는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자원이다! 


정보원의 활용 빈도를 올리자! 

대표적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운영하는 학술정보 통합검색·열람 서비스

888c0714a317decc5161c6dcdd04024d_1762329161_3653.png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한국연구재단(KRF)에서 운영하는 학술 정보 서비스 KCI(Korean Citation Index)가 있다. 또, 국립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과 협을 맺으면 각 도서관이 소장하는 학술 논문, 연구보고서 등의 원문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에 발생하는 비용은 각 도서관에서 부담을 하기 때문에 정보원의 활용 빈도가 적다면 국립도서관과의 협약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올바른 정보 인용 길잡이가 되어 주자!

이런 온라인 자료가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무분별하게 사용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표절 예방과 올바른 인용 지도를 함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상용서비스가 다양하게 생겨나고 있다. 표절 유사도 검사는 물론 자동 출처 작성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활동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서비스 역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각 시도 교육청이나 지역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무료 지원 서비스를 찾아보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표절 유사도 검사 서비스를 교육청 차원에서 구독하여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이 이런 다양한 자원을 연결해 줄 때 학생들은 더 넓은 세상과 만날 수 있다. 도서관이 단순히 책 공간을 넘어 지식의 나눔과 확장이 이루어지는 살아 있는 학습의 장이

되는 것이다.


연계 프로그램‘, 지식 잇기: BIBLIO×KNU도서관’

대구시교육청은 IB DP 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도서관 상호협력체제1)’를 구축하고 있다. 지역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IB DP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이어 주는 형태로 운영되며, 대구의 IB DP 월드스쿨의 교사와 학생은 연계된 대학도서관의 도서와 학술지 등 각종 학술 자료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교내에서도 이와 연계한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지식 잇기: BIBLIO×KNU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BIBLIO(비블리오)’는 대구국제고 도서관 이름으로, ‘경북대학교(KNU)’ 도서관 시설과 자료를 학생과 교사가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대구시립동부도서관-경북대학교도서관 상호협력 서비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대학 수준의 도서와 최신 학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1) 대구의 IB DP 월드스쿨, 대구시립동부도서관, 경북대학교도서관 간 상호 협력 서비스를 일컫는다

Step 1 사서교사 연수 학생 탐구 지원의 첫걸음

먼저,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경북대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수에 참여했다. 이 연수는 IB DP에서 요구하는 탐구 기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 수준의 학술 정보 활용법을 익히는 시간으로 마련되었다. 연수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전략과 학생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참고정보원 탐색 등 학생들에게 직접 지도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적 지식을 다뤘다. 참고정보원과 정보 검색 연수는 교육청 단위 연수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우 유익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정보원이나 자료를 안내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학생들의 정보탐색을 실제 지원하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준비할 수 있었다.


Step 2 학생 교육 탐구 역량을 기르는 실습

대학도서관은 학교도서관보다 훨씬 풍부한 자료와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경북대학교도서관에서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교육을 마련해 주었다. 대구의 IB DP 월드스쿨 가운데 일정이 맞는 학교들이 함께 참여하여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진행했다. 교육은 대학도서관 이용 방법과 시설 소개로 시작해, 고등학생 수준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정보원을 안내하는 순서로 이어졌다. 특히, 주제 선정

888c0714a317decc5161c6dcdd04024d_1762329356_0288.png

을 위한 검색 방법, 연구 질문에서 핵심 키워드 뽑아내기 등 IB DP 소논문 작성과 교과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로 교육이 이뤄졌다. 학생들은 사전에 준비한 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활용해 간단한 검색을 직접 실습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은 대학도서관을 직접 방문하기 전 단계에서 유익한 준비 경험이 되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이 연구 역량을 기르는 데에도 의미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Step 3 대학도서관 이용 새로운 자료와의 만남

마지막 단계는 대학도서관을 직접 이용하는 활동이었다. 교육을 마친 뒤 지역 공공도서관에서 배부한 출입카드를 통해 학생들이 개별 일정에 맞춰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도록 했다. 출입카드는 학교도서관에서 관리하며, 학생이 필요할 때 대여해 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출입카드를 지참하면 대학도서관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도서관 내 컴퓨터를 통한 참고정보원 검색이나 열람실 등 학습 공간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도서 대출은 개인에게 허용되지 않아, 학생들의 희망 도서를 학교도서관이 취합해 단체 대출했다. 본교에선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하기 때문에 평일 이용이 어려워, 주로 주말을 이용하여 도서관을 찾는다. 이용 소감이 무척 궁금하여 출입카드를 제법 자주 대여해 가는 학생에게 이용 후기를 물어본 적 있다.


“‘BIBLIO(비블리오)’는 대구국제고 도서관 이름으로,

‘경북대학교(KNU)’ 도서관의 시설과 자료를 학생과 교사가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대구시립동부도서관-경북대학교도서관 상호협력 서비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대학 수준의 도서와 최신 학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학생은 교육에서 배웠던 정보원들에 접속하여

직접 검색해 보고 다양한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좋았다고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 생활을 미리 경험해 보는 것 같아 자주

간다고 했다. 이런 경험이 학생들에게 학교 밖

에서 새로운 자료와 학문적 자원을 직접 접하

는 소중한 기회가 되어준 것 같아 사서교사로

서 뿌듯함이 들었다.

 888c0714a317decc5161c6dcdd04024d_1762329432_5175.png 


탐구와 배움을 잇는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비치하는 공간을 넘어, 학생들의 탐구와 성장을 지원하는 ‘지식의 허브’로서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식 잇기: BIBLIO×KNU도서관’ 프로그램처럼 학교와 지역, 대학을 잇는 협력하는 환경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료와 학문적 경험을 직접 접할 기회를 제공하며,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탐구하는 힘을 길러 준다. 사서교사로서 학생들이 자료를 찾고 배움을 넓혀 가는 과정을 곁에서 지켜보는 일은 도서관의 본질적인 가치를 되새기게 한다. 학교도서관은 여전히 책이 머무는 곳이지만, 동시에 학생들이 자기만의 길을 찾아가도록 조용히 이끌어 주는 배움의 동반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