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도서관 활용수업 사서교사의 핵심 교수활동은? - ➌ 정보활용교육과 사서교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2-02-11 13:26 조회 10,286회 댓글 0건

본문

사서교사는 사서와 교사가 조합된 용어이다. 영어권 국가들의 경우, 사서교사의 명칭이 통일되
어 있지 않아 다양한 명칭이 존재하여 혼란을 주지만 우리는 다행히도 비교적 통일되게 사서
교사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사서교사라는 명칭은 그 자체로 사서와 교사 두 가지의 역할을 기
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명확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역할 중 학교도서관을 꾸리는 사서 역할은 전통적으로 해왔던 역할이니 크게 새로
울 것이 없어 학교구성원들이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은 현
교육시스템 내에서 여전히 도전이 필요하다. 많은 사서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 방안을 찾고 있으며 실제로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사서교사들은 적극적으로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한다.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그러한 교육프로그램 중 하나이
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은 기존 교육프로그램에 더하여 실시되는 ‘또 다른 하나’의
교육프로그램이어서는 안 된다.

이번 호에서는 사서교사들이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는 것은 기존 사서교사의
교수활동에 어떠한 변화를 요구하는지, 전체적인 교수활동 속에 어떻게 자리 잡아야 하는지,
그 전체적인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교사’ 로서 사서교사의 수준별교수활동
사실, 사서교사에게 정보활용교육의 내용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이제까지 학교도서관 정
보원의 이용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교수활동을 수행해 왔고 그러한 활동 속에는 정보활용교육
의 내용 요소들이 있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서관이용교육은 많은 사서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다. 이 교육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면 교과내용과 동떨어진 교육이지만 교과내용과 학습과
제 수행 속의 정보활용교육 맥락 속에서는 정보접근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필요한 교육이며
교과내용을 확장시키기 위한 주요 도구로서의 교육이 된다.

현재 사서교사가 중요하다고 여겨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 중에는 학교교육 과정의 내용과
동떨어져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들이 많다. 정보활용교육의 내용이 친숙하고 새
삼스럽지 않다 하더라도 사서교사들이 분명히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정보활용교육이라는 새로운 개념적 틀을 이해하고 이제까지 해오던 교과내용과
동떨어진 교수활동 중 정보활용능력의 개념에 부합되는 내용의 교육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이를 교육시스템 속에 견고하게 확장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 사서교사 교수활동에 대한 전
체적인 조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사서교사 역할 속에 정보활용교육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
먼저 교수활동을 하는 교사로서 사서교사의 역할 속에 정보활용교육을 어떻게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치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을 꾸리는 동시에 교
수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확실한 사서교사의 자리매김을 위해
서,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을 위해서 사서교사가 교수활동에 대해 집중해야 한다고 늘 강조하
는 학교도서관계 지도자들과 학자들의 이야기를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정보활용교육을 계획하는 사서교사라면 그저 현재 교수활동 속에 정보활용교육이라는 교
육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것 이상을 고민해야 한다. 그러한 고민의 첫 단계로 전체적인 사서교
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개념적 틀을 검토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교수활동 수준을 가늠하
여 볼 필요가 있다. 그런 용도로 쿨싸우가 제시하는 교육활동을 하는 사서교사의 교수 역할을
수준별로 제시한 모형1)이 활용될 수 있다.



조직자는 직접 교수활동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다. 학교도서관의 장서 조직 그 자체가 교육 서비스
인 단계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도서관이 가지는 이용자에 대한 개념을 그대로 보여주는 수준
의 서비스이다. 전통적인 도서관은 원래 스스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염두하고 만들어졌기에
그러한 독립적인 이용자들을 전제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개의 도서관을 스스로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가 다른 도서관을 또한 아무 무리 없이 이용할 수 있으리라 전제할 수 없
다는 점에서 매우 제한적 단계의 교수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강의자는 도서관 오리엔테이션과 같이 단 한 번 진행되는 교수활동을 한다. 학습과제나 정보문제가
수반되지 않으며 단 한 번의 교육을 모든 이들에게 일괄적으로 실시한다. 역시 교과내용과는
동떨어진 교육이다. 필요한 교수활동이지만 이 단계에만 의존하는 경우 학생들이 언제 사용하
게 될지 모르는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문제해결과 관련 없는 동떨어진 교육으로
전락하고 마는 경우가 흔하다. 강의자 수준의 교수활동을 하는 사서교사는 많은 부분에 대한
겉핥기 수준의 정보를 전달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준의 교육에만 의존한다면 사
서교사의 교수활동이 실제 정보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길
기대하기 어렵다.

학생들은 오리엔테이션 교육보다는 자신들의 도서관 이용의 선행 경험에 의
지한 이용을 하게 된다. 이 단계는 그야말로 시작단계의 교수활동으로 이후 구체적이며 체계적
인 교육이 더 필요하다.

교수자는 해결해야 할 정보문제가 존재하고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교수활동을 한다. 그러나 한 번에
한 개의 정보원에 대한 교육만 이루어지는, 여전히 문제 중심이 아닌 정보자원 중심 교수활동
이기 때문에 제한적인 교수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는 정보문제가 주
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가 각각 필요한 교수활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서교사의 교수활동 역시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위해 알아야 하는 것(백과사전 이용법, 목록
검색법, 색인 이용법 등)을 그때그때 가르치며 문제해결의 과정에 간접적인 도움을 준다. 교수
자 수준의 교수활동을 위해 사서교사는 필요한 정보원을 발굴하여 교과교사에게 알려주며 그
러한 정보원의 이용법에 대한 교수활동을 한다.

개인교수자는 연속적으로 구성된 몇 번의 교수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정보문제를 해결하도록 정보원을
찾고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조언한다. 특히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특정 정보문제, 정보의
유형과 깊이 수준까지도 관련지어 연결시키고 각각의 정보원을 검색하고 활용하는 순서와 방
법을 가르치고 조언하는 것이 교수목표이다.

개인교수자 수준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도구가 일반주제에 관한 일련의 정보원을 제시하는 ‘정보의
길잡이Pathfinder’이다. 개인교수자로서 사 서교사는 정보문제가 주어지기 훨씬 이전 단계부터
교과교사와 협력하여 의미 있는 시점에 정보문제가 부여되고 학생들이 이를 수행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서교사는 교과교사와 교수계획 단계부터 협력하여 정보활용능력이 적용된
독립된 교수목표를 가지고 일련의 교수활동에 그대로 적용한다.

상담자는 학생들의 정보이용 과정에 수반되는 생각, 활동, 감정적인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지원하는
학습과정의 중재자이다. 상담자는 현재의 정보문제 해결 과정을 지원할 뿐 아니라 앞으로 정보
활용이 요구되는 정보문제 해결에 교수된 내용이 그대로 전이되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교수목표로 한다. 상담자의 교수활동은 학생들의 정보문제와 완전히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상담자로서 사서교사는 교과교사, 학교 행정담당자, 그리고 교육과정개발위원회와 팀을 이루
어 교수활동을 하며 교수계획부터 평가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탐구중심학습을 지향하며
학습이론을 교수법에 적용하고 학생 개개인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 되도록 노력한다. 특히 탐구
중심의 학습과제는 정보활용을 위한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급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다.

교과교사와 사서 교사 협력의 장애요인
실제 학교도서관 현장에 있는 사서교사마다 실시하는 교수활동의 수준이 다를 것이다. 즉 단
한 번의 오리엔테이션의 수준에 머무는 교수활동을 하는 사서교사도 있을 것이며 그 이상 수
준에 있는 교수활동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체계적이며 효과를 볼 수 있는 정보활용교육은 적
어도 4수준 개인교수자 이상의 교수활동이라고 생각하며, 개인교수자를 포함하여 어느 단계
의 교수활동을 하고 있든 정보활용교육은 5수준 상담자의 교수활동을 목표로 탐구중심학습
을 통해 정보활용교육이 학습과정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상담자 교수활동은 교과교사와 협력수업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정보활용교육이 교과교사와의 협력수업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정보
활용능력과 교과내용은 탐구중심의 교수활동 속에서 함께 다루어졌을 때 기대하는 학습 효
과를 가장 잘 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런데 실상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세 가지 주요 장애요
인2)은 협력 시에 꼭 필요한 서로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 부족, 정보활용교육이 함께 이루
어질 수 있는 학습과제 설계의 문제, 협력을 할 시간 부족이다.

1) Kuhlthau, K. (2003).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2) Kuhlthau, K. (2003).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서로의 역할이 아리송하고, 협력할 시간은 턱없이 모자라고…
첫 번째, 협력에 있어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혼란 문제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
다.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역할은 흔히 주제전문가와 과정전문가라는 명칭으로 구분된다.

‘주제전문가’인 교과교사의 역할은 사서교사의 역할에 비해 비교적 잘 인식되어 있다. 주별로
표준 교육과정을 가지고 교사가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적용하여 수업하는 미국의 경우 주제전
문가인 교과교사는 탐구중심 협력수업에 가장 큰 학습 효과를 볼 수 있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선택하고 해당 내용을 분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의 경우, 교과교
사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주어진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탐구중심의 협력수업이
필요한 부분을 진단하며 탐구수업을 통해 학습되어야 할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할 수 있다.

‘과정전문가’라 일컬어지는 사서교사는 체계적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협력수업 시 정보자원
전문가, 정보활용교육의 교수자, 교수설계와 학습이론의 전문가, 협력의 조정자 역할을 담당해
야 한다. ‘정보자원전문가’로서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학교도서관의 장서를 구성하고 접근
가능한 온라인 자료를 안내하며 교육과정에 따라 이러한 정보자원의 직접 관련성을 제시한다.
정보자원전문가로서 사서교사의 역할은 교사들에게 가장 잘 인식되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보활용교육의 교수자’로서 사서교사는 정보활용능력의 개념과 이러한 개념을 가르칠 수
있는 교육모형들에게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학교 차원의 전체적인 정보활용교육 프
로그램 개발을 위해 전체적 교육과정을 조망하고 학생들의 수준과 정보활용능력를 파악한다.
협력수업 시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의 개념과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있다
면 정보활용교육의 교수자로서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사서교사는 이러한 역할에 대해 충분히 알리고 소통할 필요가 있다.

‘교수설계와 학습이론의 전문가’로서 사서교사는 정보활용교육이 최신 학습이론인 구성주
의이론을 적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탐구중심 학습환경을 마련한다. 특히
주제지식과 정보활용능력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탐구중심 학습과제를 설계
하는 것이 핵심적인 역할이다. 학습과제 설계는 학습과제 수행과정을 정보활용능력의 개념과
연결지어 과제 수행과정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과정 중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이 학습될 수 있도
록 한다.

‘협력의 조정자’로서 사서교사는 교과교사와 충분한 소통을 하기 위해 늘 소통을 위한 방법
을 열어 놓으며 협력의 고리를 만들어 나간다.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에 있어서 구체적으
로 협력관계를 조정할 역할을 사서교사가 담당하여 협력을 이끌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사서
교사는 교과교사와의 협력수업을 통해 정보활용교육을 실시하는 새로운 관점을 도입하려는
입장이니만큼 적극적으로 협력관계의 소통을 이끌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학습과제 설계의 문제는 매우 구체적인 문제이다.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학습과제는 여러
유형이 있다. 탐구중심의 학습과제는 학생들이 스스로 주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습하는 과제
로서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극복하고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렇게 설계되지 못한 학습과제는 오히려 학생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학습경험을 제공하
지 못한다. 그러한 학생들은 학습과정을 소홀히 생각하게 되며 결과물 완성만을 목표로 하여
정보활용교육을 받을 기회를 박탈당한다.

세 번째, 협력할 시간의 부족에 대한 문제이다. 협력을 하기 위해 아무런 준비 없이 소통하려고 하
면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는 사실은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모두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사서
교사는 정보활용교육을 위해 협력을 추진하고 이끄는 입장에서 교육과정의 분석 검토, 교과서
의 분석 검토, 관련 정보원 분석 검토, 가능한 학습과제 설계 등 교수 설계의 밑그림을 미리 준
비하여 준비된 협력을 추진해야 도움이 된다.

사서교사와 교과교사는 모두 협력수업이 정보활용능력과 교과내용에 대해 함께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윈윈 방식의 교육임을 늘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활용
교육은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협력수업을 지향해야 하며 또한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야 한다.

학교 교육의 목적이 학생들의 학습이라고 할 때 학생들을 위해서 사서교사 교수활동
은 더 이상의 학교 교육의 가장자리에 머무르지 말고 사서교사의 유형자산인 학교도서관 정
보자원과 무형자산인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관련지어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
향을 직접적으로 줄 수 있어야 한다. 결국에는 정보활용교육이 학습능력에 대한 교육으로 진
화하는 것이 마땅하며 정보활용교육은 중요한 교육적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서교사는 핵심 교
수활동으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이해하고 진지하게 시행해야 한다.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