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청소년 새책 세상을 더 폭넓게 이해하기 위한 관찰 노트 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4-03-19 15:11 조회 6,417회 댓글 0건

본문

이수종 서울 상암중 과학교사
 
 
이 책은 12명의 학자들이 관찰 노트를 기록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저자 중 10명은 동물학자, 조류학자, 고생물학자, 식물학자, 곤충학자 등 생물학자이고 나머지는 인류학자와 과학 전문 일러스트레이터이다.
이런 저자들이라면, 생물학이라는 분야에서만 관찰 노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질학에서도 관찰 노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저자 중 한 사람인 에린 그린이 조사한 바로는 야외에서 연구를 많이 수행하는 생태학, 행동학, 보존생물학자들보다 실험실에서 연구를 대부분 수행하는 생화학, 세포학, 분자생물학자들이 오히려 노트를 많이 이용한다고 한다. 이들 학자들은 실험 내용을 매우 자세하고 완벽하게 기록할 뿐 아니라 자기 학생들에게 데이터를 기록하는 이유와 방법을 가르친다. 일부 학자들은 두꺼운 표지의 노트를 상자 채로 사서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학생들에게 나눠 주기도 한다.
그런데 왜 이 책은 주로 야외에서 연구를 하는 학자들의 글로 엮었을까? 에린 그린은 자신의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관찰 노트 과제를 내주었다. 그랬더니 학생들은 불만이 가득했다. 하지만 막상 과제를 수행한 후에는 많은 것들을 얻었다고 했다. 그는 어떤 학생이 제출한 과제를 소개하면서 왜 관찰 노트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말해 주고 있다.

“나는 또한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글을 쓰는 것이 정말 좋았다. 문법이나 구문, 적절한 과학적 글쓰기에 대한 걱정 없이, 정말 그 어떤 것에도 구애 받지 않고 종이 위에 그냥 내 생각을 ‘던지는 것’, 그저 글을 쓰는 것. 이런 글쓰기는 전에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었다. 나는 앞으로도 야외에서 관찰한 것을 계속해서 일지로 쓸 생각이다. (중략) 이제는 나뭇잎이 바뀌지 않고 눈이 내리지 않고 봄비가 쏟아지지 않는 곳에서 산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다. 이 과제는 내가 진정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에서 살고 있는지를 느끼게 했다.”(362쪽)

거의 모든 학자들이 자신만의 노트를 만들어 쓰고 있다. 그 형식이 다를 뿐이다. 그리고 학자가 아니라도 거의 모든 직업인들은 다양한 형식의 노트를 쓰고 있다. 따라서 관찰 노트는 살아가기 위해 익혀야 할 소양인 셈이다. 그렇지만 이런 관점을 넘어서 위의 글을 쓴 학생이 밝혔듯이 자연을 관찰하면서 노트를 만드는 것은 공부를 넘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게 해주는 작업인 것이다. 그래서 야외에서 작업하는 학자들이 필진이 된 것 같다.
자신만의 관찰 노트를 만드는 데 중요한 것은 ‘두꺼운 표지를 씌운 노트를 사용하라’, ‘잘 보이는 자리에 당신의 연락처를 기재하라’, ‘당신과 후세를 위해 작성하라(글씨를 알아볼 수 있게 잘 쓰라는 뜻)’, ‘새로운 항목을 입력할 때마다 관련 현장 정보를 기록하라’, ‘원본을 대체할 사본을 여러 개 만들어라’, ‘약어를 사용한다면 관찰 노트 안에 약어표가 있는지 확인하라’ 등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노트 체계를 갖추라고 권한다. 관찰 노트를 만드는 사람의 수준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방식이라고 해도 자신에게는 불필요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제시하는 관찰 노트 방식은 다양하다. 자연과학자들은 세밀한 기획 아래 체계적으로 기록을 해나간다. 인류학자도 마찬가지로 그 서술방식이 자연과학자들처럼 체계적이지만 이들은 연구 대상이 인간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과의 교감을 나누는 과정도 기록하게 되어 있어 그들의 관찰 노트는 훌륭한 인문서적이 된다. 어떤 학자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작성에 능해서 수많은 곤충에 관한 자료를 다층적 차원에서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했다. 이런 다양한 사례들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전에 『다빈치처럼 과학하라』(프리초프 카프라, 김영사)라는 책의 서평을 쓴 적이 있다. 다빈치는 자연을 관찰할 때 통합적으로 관찰했다.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은 그림이었다. 어쩌면 그림을 그리다 보니 통합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그가 만든 기계들은 그 시대에 만든 어느 것보다 정밀하고 살아 있는 생물체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그가 모든 것을 연결되어 있는 유기체로 파악했고, 그가 유기적 관계를 만드는 데 탁월한 능력을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방법이 관찰 노트 작성이 아닐까?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